주식 대체거래소(NXT) 뭐가 좋은 걸까? 궁금증 해결!

주식 거래를 하는 분들이라면, 최근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에 대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냥 주식 거래하면 되는데 이건 또 뭐야? 하고 머리부터 아프신 분들을 위해 정리합니다.

저도 갑자기 문자가 여기저기 많이 날아와서 무슨 증권사가 하나 더 생겼나? 생각했는데 아니더군요!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해야 이후에도 정확하게 장단점을 파악해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뉴스와 증권사 소개페이지를 돌아다니며 기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이해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이 글만 보셔도 기본적인 이해는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1. 대체거래소(NXT)가 뭐지?

대체거래소는 기존의 한국거래소와 다른 하나의 시장이 더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예를들어, 서울에서 수산물을 사려면 가락시장(한국거래소)이라는 시장에 가서 각 상점(증권사)을 돌아다니며 물건(주식)을 구매합니다.

기존에는 서울에 수산물 거래 시장이 ‘가락시장(한국거래소)’이라는 단 하나의 시장만이 존재해서 모든 물건을 사려면 꼭 가락시장에 가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2025년 3월 4일에 최초로 ‘노량진수산’ 이라는 시장이 하나 더 생겨서, 꼭 ‘가락시장’에서 물건을 사지 않아도 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위에서 예시로 든 ‘가락시장‘ = 한국거래소(기존 시장)이고 ‘노량지수산시장‘ = 대체거래소(새로운 시장)입니다.

주시거래를 위해 수수료등 비교하면 증권사를 선택하듯이, 시장도 장단점을 파악해서 선택해서 거래할 수 있게됩니다. 이 새로운 시장에 입점?? 하는 증권사는 키움증권등 30여 업체라고 합니다.

개념은 이해했으니, 이제 차이점을 알아보고 어디서 거래하는게 개인에게 유리할지 살펴보시죠~! 👍

2. 한국거래소(기존 시장)과 대체거래소(새 시장)의 차이점

대체거래소는 2025년 3월 4일에 최초로 거래를 시작합니다. 차이점은 크게 3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금융위원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거래시간

가장 큰차이점은 거래시간 대폭 증가합니다. 기존 시간보다 늘어나서 12시간 거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거래시간 개요>

  • 프리마켓: 오전 8시~8시 50분
  • 메인마켓: 오전 9시~오후 3시 20분
  • 애프터마켓: 오후 3시 30분~오후 8시

■ 프리마켓(Pre-market)

거래 시간 : 정규장이 열리기 전 (예: 오전 8:00~8:50)
목적 : 투자자들이 정규 시장(메인마켓)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장

주요 이용자 :

  • 장 시작 전 중요한 뉴스나 경제 지표 발표를 반영하고 싶은 투자자
  • 글로벌 증시 움직임을 미리 반영하려는 투자자
  • 시장 개장 전에 매수/매도를 미리 결정하려는 기관 투자자

특징 :

  • 거래량이 적고, 유동성이 낮아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음
  • 일반적으로 대형 기관 투자자나 전문 트레이더들이 많이 활용
  • 주식 가격이 프리마켓에서 형성된 후 정규 시장에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음

■ 메인마켓(Main-market, 정규시장)

거래 시간 : 한국 기준 오전 9:00~오후 3:20
목적 : 일반적인 주식 거래가 이루어지는 정규장
주요 이용자 : 개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 외국인 투자자 등 모든 시장 참여자

특징 :

  • 가장 많은 거래량과 유동성을 보유
  • 가격 변동이 비교적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
  • 기업의 공시, 경제 뉴스, 글로벌 증시 변동 등이 실시간으로 반영됨
  •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메인마켓에서 거래를 집중적으로 수행

■ 애프터마켓(After-market, 장후시장)

거래 시간: 정규장이 끝난 후 (예: 오후 3:30~8:00)
목적: 정규장 종료 후에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

주요 이용자:

  • 장 종료 후 발표된 기업 실적이나 뉴스에 반응하려는 투자자
  • 장중 매매를 놓친 투자자들이 추가 거래를 원할 때
  • 해외 시장 움직임을 반영하고자 하는 투자자

특징:

  • 거래량이 적고 유동성이 낮아 스프레드(매수-매도 호가 차이)가 클 수 있음
  • 주로 기업 실적 발표 이후 주가 변동을 예상하고 대응하는 투자자들이 활용
  • 미국과 유럽의 장후 거래와 연결될 수도 있어 글로벌 증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구분프리마켓 (Pre-market)메인마켓 (Main-market)애프터마켓 (After-market)
거래 시간 (예시)08:00~08:5009:00~15:2015:30~20:00
거래량적음많음 (최대)적음
유동성낮음높음낮음
가격 변동성높음상대적으로 안정적높음
주요 이용자기관 투자자, 프로 트레이더모든 투자자실적 발표 후 대응하는 투자자
주요 활용 목적글로벌 증시 반영, 시장 예측일반 거래실적 발표 후 대응, 해외 증시 반영

b. 거래수수료

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수수료가 기존의 한국거래소 대비 20~40% 낮은 수수료를 책정한다고 합니다. 거래를 많이 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수수료가 작은 돈이 아닌데, 희소식입니다~!

c. 다양한 호가 유형

기존 시장가 및 지정가 호가 외에 ‘중간가호가‘와 ‘스톱지정가호가‘를 추가하여 투자자들의 다양한 매매 전략을 지원합니다.

중간가호가

개념:

  • 매수/매도 주문 시 현재 호가창에서 매도 1호가와 매수 1호가의 중간 가격으로 주문을 내는 방식
  • 예를 들어, **매도 최우선 호가(1만100원), 매수 최우선 호가(1만원)**이라면, 중간가호가는 1만50원으로 주문됨

특징:

  • 시장 충격을 줄이고,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
  • 거래 체결이 더 빠르고 유리한 가격에 매매 가능
  • 스프레드(매수-매도 호가 차이)를 활용하여 비용 절감 가능

활용 사례:

  • 호가 갭이 큰 종목에서 최적의 가격으로 체결을 원하는 투자자가 활용
  • 단타 매매나 알고리즘 트레이딩에서 유리

스톱지정가호가

개념:

  • 특정 가격(스톱 가격, Trigger Price)에 도달하면 미리 정한 지정가 주문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방식
  •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1만 원인데 스톱 가격을 1만500원, 지정가를 1만400원으로 설정하면,
  • 주가가 1만500원에 도달하면 1만400원에 매수(또는 매도) 주문이 활성화됨

특징:

  • 손실 방어(Stop-Loss) & 목표가 설정(Take-Profit)에 유용
  • 일반적인 지정가 주문보다 정교한 가격 조정 가능
  • 예상치 못한 가격 변동을 대비할 수 있음

활용 사례:

  • 주가가 급등/급락할 경우, 정확한 매수/매도 타이밍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데 활용
  •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리스크 관리에 유용
구분중간가호가 (Midpoint Order)스톱지정가호가 (Stop-Limit Order)
주문 방식매도 1호가 & 매수 1호가의 중간 가격으로 주문설정한 스톱 가격 도달 시 지정가 주문 자동 실행
목적최적의 가격으로 매매 체결가격 변동성 대응 & 자동 매매 설정
장점스프레드 축소, 유동성 증가손절매, 목표가 설정 가능
활용 투자자알고리즘 트레이딩, 단타 트레이더리스크 관리 투자자, 변동성 높은 시장 대응

대체거래소가 새로 생김으로 인해서, 한국 주식 시장도 경쟁체제로 바뀌게 됩니다. 투자자들에게는 선택권이 생기게 되었고, 그로인해 다양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앞으로 더 많은 편의성과 수수료 경쟁으로 투자자들에게 좋은 환경이 자리잡길 기대해봅니다. ~! 😝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영상도 준비했습니다. A to Z 까지 궁금증 해결할 수 있는 10분정도의 영상이니 한 번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