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답을 정확히 끌어내는 챗GPT 질문 기술”
챗GPT 사용하시는 분들!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이 많이 달라지는 것 아시죠? 질문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급 사용자를 위한 프롬프트 작성 요령과 전략을 소개합니다.
단순한 대화형 질문이 아니라, 정교한 명령문을 설계하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전글 보기
챗GPT 가격 – 무료 vs 유료 어떤 차이가 있지?
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에게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 질문(프롬프트)을 구조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중요한 이유
- 챗GPT는 입력된 텍스트의 형태와 맥락에 매우 민감합니다.
- 같은 질문도 표현 방식에 따라 답변의 질이 달라집니다.
- 복잡한 작업일수록 명확하고 단계적인 지시가 필요합니다.
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본 원칙 5가지
1)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시 사용하기
- 잘못된 예시:
블로그 글 써 줘.
- 좋은 예시:
챗GPT 활용법에 대해 초보자를 위한 1,000자 분량의 블로그 글을 써 줘. 제목과 소제목도 포함해 줘.
→ 목적, 대상, 분량, 형식 등을 구체적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2) 역할 부여하기 (Role Play)
- 예시:
너는 지금 블로그 콘텐츠 전문가야. SEO를 고려해서 글을 작성해 줘.
넌 이제부터 대학생 튜터야. 이 개념을 고등학생 수준으로 설명해 줘.
→ AI의 답변을 더 컨텍스트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출력 형식 지정하기
- 예시:
표로 정리해 줘.
단계별 리스트로 설명해 줘.
각 항목에 예시를 함께 포함해 줘.
→ 리스트, 표, JSON, 코드블럭, 마크다운 등도 활용 가능합니다.
4) 조건이나 제약 설정하기
- 예시:
쉬운 용어로, 500자 이내로 설명해 줘.
기술 용어는 사용하지 말고,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말해 줘.
2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적어 줘.
→ 톤, 분량, 난이도, 대상 독자 등을 명시하세요.
5) 단계적으로 요청하기 (Chain of Thought)
- 예시:
챗GPT 활용법에 대한 블로그 글의 목차를 먼저 만들어 줘.
그럼 1번 목차 내용을 300자 정도로 써 줘.
내용을 더 구체화해 줘. 사례도 넣어 줘.
→ 대화 흐름을 유도하면서 점진적으로 답변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프롬프트 패턴 예시 모음
목적별 템플릿 예시
목적 | 프롬프트 예시 |
---|---|
정보 설명 | 너는 전문가야. 중학생 수준으로 ‘챗GPT의 작동 원리’를 설명해 줘. |
글쓰기 | 1,000자 분량의 블로그 글을 써 줘. 제목과 소제목 포함해서. |
요약 | 이 문서를 3줄로 요약해 줘. 핵심만 뽑아 줘. |
코드 생성 | 파이썬으로 간단한 웹 크롤링 코드 예제를 만들어 줘. |
분석 | 이 데이터의 핵심 인사이트를 3가지로 정리해 줘. |
스타일 전환 | 이 문장을 더 감성적이고 부드러운 스타일로 바꿔 줘. |
4. 주의할 점 (프롬프트 한계와 오해)
- 챗GPT는 스스로 추론하거나 실시간 정보를 검색하지 않습니다.
- 질문이 모호하거나 너무 복잡하면 두루뭉술하거나 틀린 답을 줄 수 있습니다.
- AI의 답변이 완전한 정답이 아님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챗GPT는 뛰어난 AI이지만, 그 능력을 끌어내는 열쇠는 질문(프롬프트)에 달려 있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초를 실천한다면, 더 똑똑하게 챗GP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